-
-
단편적인 것의 사회학
기시 마사히코 지음, 김경원 옮김 / 위즈덤하우스 / 2016년 10월
평점 :
이 책의 저자 기시 마사히코는 일본의 사회학자이다. 작년 11월 말에 본 책이라 자세히 리뷰를 쓰긴 어렵다.
책을 재밌게 읽고 모임도 재밌게 했다. 사회에서 소외된 사람, 약간 독특한 사람들의 이야기를 담고 있다. 사람 냄새가 물씬 나는 책이다. 책을 읽으니 사람들을 만나서 그 사람들의 이야기를 듣고 싶었다. 누구나 간직하고 있는 독특한 이야기가 있다. 기시 마사히코는 그런 이야기를 사랑하는 사람이다. 그런 이야기를 듣고 수집하고 기록하는 사람이다.
책을 읽고 저자의 다른 책들을 더 보고 싶었는데 아직까지 보지 못했다. 책에 소개된 책들 중에서도 보고 싶은 책이 몇 권 있었다. 어슐러 K. 르 귄의 동화책 <멋진 알렉산더와 날고양이 친구들>과 데즈카 오사무의 <불새>를 읽었다. <불새>는 훌륭한 만화였다. 데즈카 오사무의 작품을 요즘 계속 보고 있다. 데즈카 오사무는 일본 만화의 신으로 불리는 분이다.
인류학자 오가와 사야카가 쓴 <하루 벌어 하루 살아도 괜찮아>란 책을 구입했는데 아직 읽지 못했다. 오늘 생각난 김에 읽어봐야겠다.
저자의 다른 책 <거리의 인생> 도서관에 상호대차 신청했다. 일요일에 받아봤으면 좋겠다. <거리의 인생>은 노숙자, 섭식 장애자, 마사지 걸, 외국인 게이, '뉴 하프' 등 다섯 사람의 구술을 모은 책이라 한다.
휴, 얼마 전에 도서관에서 빌리는 책 갯수를 3주에 3-4개 이하로 제한할고 결심했었다. 절대 지킬 수 없을 거 같다. 도서관에서 계속 책을 빌려 읽으니 집에 사놓은 책들을 계속 안 읽게 된다. 책 사는 것을 극도로 제한하고 있다.
책은 무조건 사서 읽으라는 저자도 있지만 빌게이츠와 워런버핏은 도서관에 있는 모든 책을 읽었다고도 했다. 꼭 사서 읽을 필요는 없다.
기시 마사히코와 다시 만날 생각을 하니 기분이 좋다. 좋은 작가, 좋은 사람이다. 혹시 좋은 작가란 좋은 사람인 걸까? 어쩌면 어느 정도는 일리가 있는 말일 수도.